문제 설명
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합니다.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,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릅니다.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합니다.
-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습니다.
-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,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습니다.
-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합니다.
-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습니다.
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(a)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'()'으로 표현합니다. 또한 모든 '()'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합니다.
(b)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'('로,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')'로 표현됩니다.
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습니다.
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리는데,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리고,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립니다.
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표현한 문자열 arrangemen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잘린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- arrangement의 길이는 최대 100,000입니다.
- arrangement의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는 항상 쌍을 이룹니다.
arrangementreturn
()(((()())(())()))(()) | 17 |
출처
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585
알고리즘 연습 - 쇠막대기 | 프로그래머스
실행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.
programmers.co.kr
첫 시도
문제를 읽고, 굳이 Stack과 Queue를 사용해야하나?라는 생각이 들었다. 그래서 일단 내가 하고 싶은데로 구현하였다.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int solution(string arrangement) {
int answer = 0;
int stickBuffer = 0;
for(int i = 0; i < arrangement.length()-1; i++){
if(arrangement.at(i) == '\(' && arrangement.at(i+1) == '\)'){
answer += stickBuffer;
}
else if(arrangement.at(i) == '\('){
stickBuffer++;
}
else if(arrangement.at(i+1) == '\)'){
stickBuffer--;
answer++;
}
}
return answer;
}
결과
채점을 시작합니다.
정확성 테스트
테스트 1 〉 | 통과 (0.20ms, 4.1MB) |
테스트 2 〉 | 통과 (0.00ms, 3.89MB) |
테스트 3 〉 | 통과 (0.19ms, 4.04MB) |
테스트 4 〉 | 통과 (0.02ms, 3.91MB) |
테스트 5 〉 | 통과 (0.04ms, 3.83MB) |
테스트 6 〉 | 통과 (0.04ms, 3.8MB) |
테스트 7 〉 | 통과 (0.34ms, 4MB) |
테스트 8 〉 | 통과 (0.33ms, 3.93MB) |
테스트 9 〉 | 통과 (0.39ms, 4.05MB) |
테스트 10 〉 | 통과 (0.36ms, 3.96MB) |
테스트 11 〉 | 통과 (0.27ms, 3.88MB) |
테스트 12 〉 | 통과 (0.28ms, 3.91MB) |
테스트 13 〉 | 통과 (0.31ms, 4.05MB) |
테스트 14 〉 | 통과 (0.44ms, 3.96MB) |
테스트 15 〉 | 통과 (0.48ms, 3.95MB) |
테스트 16 〉 | 통과 (0.46ms, 4.02MB) |
테스트 17 〉 | 통과 (0.55ms, 4.06MB) |
테스트 18 〉 | 통과 (0.54ms, 4.01MB) |
테스트 19 〉 | 통과 (0.52ms, 3.97MB) |
테스트 20 〉 | 통과 (0.56ms, 4.04MB) |
채점 결과
정확성: 100.0
통과하였다. 하지만 뭔가 찜찜한 부분이 있어서 솔직하게 말하면,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자연스럽게 보게 되었다. 물론 (3초) 그래서 stack과 queue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시 풀어보았다.
두 번째 시도
'CSEE > Algorith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수의 합 (0) | 2019.04.14 |
---|